구개음화(口蓋音化)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9:49본문
Download : 구개음화 연구.hwp
A+ 받은 data(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부듸>부디, 견듸다>견디다
구개음화, 음운론, 문법, 음운변화, 동화
Ⅰ. 서론
Ⅳ. 결론
구개음화(口蓋音化) 연구
구개음화(口蓋音化) 연구 리포트입니다. 이들은 이중 모음을 가지고 있던 단어들로서 19세기에 단모음화하여 18세기 초에 나타났던 구개음화를 피할 수 있었다.
그리고 ??ㄴ, ㄹ, ㅅ??이 ??i??나??j??앞에서 소리만(음운이 아님) 구개음으로 발음되는 일이 있다 그 예로는 달력, 남녀, 하셔, 숭늉 등이 있다
디다>지다, 뎌 >져>저, 됴타>죠타>좋다
Ⅱ. concept(개념) 및 종류
<참고 문헌>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첫째, 한 형태소 내부에서는 ??ㄷ, ㅌ??이 ??i??나??j??앞에 오더라도 ??ㅈ, ㅊ??이 되지 않는다. ??ㄱ-구개음화??는 특히 남부(전라, 경상) 방언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며, 평안도 방언에서는 ??ㄷ, ㅌ-구개음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즉, ㄷ, ㅌ이 모음 ??ㅣ??앞에서 구개음화하던 시기에 이들 단어는 이중 모음 ??ㅢ??나 ?????를 가지고 있었고 구개음화 시기가 지난 뒤에 이중 모음이 ??ㅣ??로 바뀌었으므로 구개음화의 대상에서 벗어난 것이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잔디→*[잔지], 디디다→*[지지다], 느티나무→*[느치나무],
순서
부디→*[부지], 견디다→*[견지다]
다. 잔?>잔디, 드듸다>디디다, 느틔나모>느티나무,
구개음화(口蓋音化) 연구 리포트입니다.
단, 중세어에서는 한 형태소 안에서도 구개음화 현상이 일어났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Download : 구개음화 연구.hwp( 17 )
괄호 속의 ??ㄱ??과??ㅎ??의 구개음화는 방언적인 현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구개음화의 규칙을 적용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텬디>쳔지>천지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Ⅲ. 방언에서의 구개음화
history(역사) 적으로는 이들 예의 모음 ??i??가 순수한 ??i??가 아니라, 다른 모음을 사이에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說明(설명)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