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시대의 정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1:50
본문
Download : 인터넷시대의 정치.hwp
총선시민(市民)연대는 이 사이트에 낙성, 낙천 대상자의 명단을 공개함으로써 이에 동조하는 네티즌들의 활발한 참여를 불러일으켰고 선관위…(省略)
Download : 인터넷시대의 정치.hwp( 20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인터넷시대의정치 , 인터넷시대의 정치인문사회레포트 ,
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Internet)상의 여론이 미디어 의제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선거의제에 있어서 과거에는 정책적 내용이 적고 정치인의 정쟁이 많은 비중을 차지했었고, 의제 참여자 역시 정치인이 지배적이었으며 시민(市民)단체나 시민(市民)의 의제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었다. 인터넷(Internet)과 네티즌에 관한 기사가 명시적으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는 것이 이를 말해준다.
설명
인터넷시대의 정치
인터넷시대의정치
순서
Ⅰ.서 론
1. 문제제기
2. 연구목적
Ⅱ. 한국에서의 인터넷(Internet) 정치
1. 인터넷(Internet) 사용동향과 인터넷(Internet)선거의 history(역사)
2. 제 16대 총선과 16대 대통령선거에서의 인터넷(Internet) 활용
Ⅲ. 인터넷(Internet)혁명과 정치
1. 인터넷(Internet)혁명의 개념(槪念)
2. 인터넷(Internet)을 통한 정치홍보
3. 인터넷(Internet)혁명의 정치적 파급효율
Ⅳ.인터넷(Internet)을 통한 전자민주주의
1. 전자민주주의의 장단점
2. 전자민주주의의 국내 외 事例
Ⅴ. 結論(결론) 및 앞으로의 방향
Ⅵ. 요약
※bibliography
2. 제 16대총선과 16대 대통령선거에서의 인터넷(Internet) 활용
1)제 16대 총선
제16대 총선은 과거와는 달리 매우 독특한 특징을 나타냈다. 총선기간 중 성공적으로 정보를 제공한 대표적 사이트는 총선시민(市民)연대의 www.ngokorea.org와 선거관리위원회의 www.nec.go.kr이었다. 그러나 16대 총선에서는 시민(市民)단체가 제기한 낙선, 낙천운동이 가장 중요한 의제로 부각되면서 과거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정치 참여자로서 네티즌이 등장했다는 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