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관절의 수동적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의 측정(measurement) 방법에 따른 신뢰도와 상완골두의 전방 활주 거리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21:54
본문
Download : 어깨관절의 수동적 내회전 관절 가동범.hwp
또한 테이프를 이용하여 어깨관절 내회전시 테이프의 길이로 측정하는 방법, 시각으로 추정하는 방법, 디지털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많이 있으나 아직까지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하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에 관련되어는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아 어깨관절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는 측정하는 자세에 따라서도 effect을 주게 되는데, 상완골을 0도와 30도, 60도, 90도 외전한 자세에서 내회전 각도를 측정하면 어깨관절의 외전에 따라 견갑골의 움직임이 포함되어 어깨관절의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에 effect을 준다.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측정을 통해 대상자의 움직이려는 노력, 근력 등을 알 수 있고,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통해 관절면의 상태, 관절낭 및 인대, 근육들의 신장성 등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어깨관절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하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아 Mallon 등은 엄지손가락으로 닿을 수 있는 척추의 극돌기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팔꿈치, 손목, 엄지손가락에 의한 대상작용이 많이 일어나므로 어깨 관절의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하는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보고되었다.
관절 가동범위는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관절가동범위인 능동적 관절가동범위와 외부에 의해 움직여지는 관절가동범위인 수동적 관절가동범위가 있다. 그러므로, 어깨 통증이 있는 환자의 어깨관절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의 정확한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 측정을 위해서는 견갑 흉부 움직임과 함께 상완골두의 전방 활주 움직임이 동반되는지 watch하는 것도 중요하다.
순서
관절 가동범위는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관절가동범위인 능동적 관절가동범위와 외부에 의해 움직여지는 관절가동범위인 수동적 관절가동범위가 있다.





Download : 어깨관절의 수동적 내회전 관절 가동범.hwp( 59 )
어깨관절의 수동적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의 측정(measurement) 방법에 따른 신뢰도와 상완골두의 전방 활주 거리 비교
설명
레포트 > 의학계열
다.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측정(measurement)을 통해 대상자의 움직이려는 노력, 근력 등을 알 수 있고,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측정(measurement)을 통해 관절면의 상태, 관절낭 및 인대, 근육들의 신장성 등을 알 수 있다.
어깨관절의 수동적 내회전 관절 가동범위의 측정 ,상완골두의 전방 활주 거리
상완골 전방활주 증후군은 어깨를 움직일 때 후방으로 활주가 부족하여 상완와관절의 뒤쪽 구조물인 후삼각근의 단축이나 앞쪽 구조물인 견갑하근의 느슨함이 동반되고 상완골두가 과도하게 앞으로 활주된다고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