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인간과 동물의 공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05:14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인간과 동물의 공존.hwp
몇몇 열대 식물들은 아예 개미에게 음식은 물론 방까지 내주어 상주하도록 한다. 개미는 이 꽃 밖 꿀샘으로부터 고도로 농축돼 있으며 바로 양분으로 쓰일 수 있는 단물을 얻는다. 여왕개미와 수개미들을 제외하곤 날개가 퇴화해 날지 못하는 개미는 꽃가루를 멀리 퍼뜨려야 하는 식물의 입장에서 볼 때 그다지 훌륭한 매체가 아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꽃 안 꿀샘에는 단물에는 당분은 물론 단백질도 풍부하게 있는 반면 꽃 밖 꿀샘의 단물에는 단백질 constituent 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아카시아 나무들도 가시를 가지고 있지만 쇠뿔 아카시아 나무의 가시들은 실제로 소의 뿔처럼 생겼고 크기도 엄청나다. 중미에 서식하는 쇠뿔 아카시아 나무가 그 대표적인 예다. 즉, 벌을 비롯해 수분을 돕는 여러 동물들과 오랜 세월을 두고 함께 진화해 온 결과라는 뜻이다. 따라서 개미는 필요한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해 다른 초식동물을 잡아먹어야 한다.
그런데 상당수의 식물들은 꽃 속 외에도 잎이나 가지에 꿀샘을 가지고 있따 이를 꽃 밖 꿀샘이라고 부르는데, 꽃 안 꿀샘이 수분을 돕는 동물들을 위한 것인데 반해 꽃 밖 꿀샘은 거의 예외 없이 개미를 위해 준비해 놓은 것이다. 더욱 신기한 것은 그 가시 속이 텅 비어 있다는 것이…(To be continued )
설명
[자연과학] 인간과 동물의 공존
[자연과학] 인간과 동물의 공존 , [자연과학] 인간과 동물의 공존자연과학레포트 , [자연과학] 인간과 동물의 공존
![[자연과학]%20인간과%20동물의%20공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8%EA%B0%84%EA%B3%BC%20%EB%8F%99%EB%AC%BC%EC%9D%98%20%EA%B3%B5%EC%A1%B4_hwp_01.gif)
![[자연과학]%20인간과%20동물의%20공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8%EA%B0%84%EA%B3%BC%20%EB%8F%99%EB%AC%BC%EC%9D%98%20%EA%B3%B5%EC%A1%B4_hwp_02.gif)
![[자연과학]%20인간과%20동물의%20공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8%EA%B0%84%EA%B3%BC%20%EB%8F%99%EB%AC%BC%EC%9D%98%20%EA%B3%B5%EC%A1%B4_hwp_03.gif)
![[자연과학]%20인간과%20동물의%20공존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8%EA%B0%84%EA%B3%BC%20%EB%8F%99%EB%AC%BC%EC%9D%98%20%EA%B3%B5%EC%A1%B4_hwp_04.gif)
![[자연과학]%20인간과%20동물의%20공존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8%EA%B0%84%EA%B3%BC%20%EB%8F%99%EB%AC%BC%EC%9D%98%20%EA%B3%B5%EC%A1%B4_hwp_05.gif)
![[자연과학]%20인간과%20동물의%20공존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8%EA%B0%84%EA%B3%BC%20%EB%8F%99%EB%AC%BC%EC%9D%98%20%EA%B3%B5%EC%A1%B4_hwp_06.gif)
레포트/자연과학
다.
Download : [자연과학] 인간과 동물의 공존.hwp( 77 )
순서
[자연과학] 인간과 동물의 공존
[자연과학],인간과,동물의,공존,자연과학,레포트
인간과 동물의 공존
1. 생태계의 보존과 공존
(1) 공존의 방법
1)개미와 식물의 공존 예
개미는 벌과 달리 식물의 수분을 돕는 일에 거의 관여하지 않는다. 식물의 입장에서 비교적 적은 비용이 드는 셈이다. 대신 개미는 그 식물을 온갖 초식동물로부터 보호한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개미에게 수분을 맡기는 식물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박쥐의 도움으로 수분을 하는 벌사나무의 예를 보자. 박쥐를 위해 꽃 안 꿀샘에 준비해 놓은 단물에는 농도 11%의 설탕과 아미노산이 듬뿍 들어 있따 이에 비해 개미를 위한 꽃 밖 꿀샘의 단물에는 단분만 잔뜩 들어 있고 아미노산은 거의 찾을 수 없다. 실제로 꽃의 구조나 기능은 공진화의 산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