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대학교 한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22:00
본문
Download : 한국사(기말고사).hwp
생활공예로 목공예도 발달하여 화려한 나전칠기를 위시하여 궤•장롱•경대•책상•탁자•소반 등 여러 가지 가구들이 제작되어 조선 시대의 소박하며 아담한 취미를 잘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 한글창제로 민족 culture를 보존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고유언어와 고유문자로 민족culture의 기반이 확고해짐
- 장승업(오원)으로 고종 시대의 대표적 화가
• 한글창제는 세종이 정음청을 설치하고(세종 25년, 1443), 일부 유학자들(최만리, 정창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훈민 정음』을 반포함(세종 28년, 1446)
강의내용, 퀴즈, 정리하기 등 모두 스크립트 직접 쳤습니다 시험 잘보세요!!~~~~~~~~~~~~~~
■ 정리(arrangement)하기
강의내용, 퀴즈, 요점하기 등 모두 스크립트 직접 쳤습니다 시험 잘보세요!!~~~~~~~~~~~~~~
순서
2. 조선왕조실록
① 조선경국전, 경제육전, 경국대전
1. 다음 바르게 연결된 것은?
2. 다음 저서들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청주대학교 한국사
-2400_01.jpg)
-2400_02_.jpg)
-2400_03_.jpg)
-2400_04_.jpg)
-2400_05_.jpg)
② 동국통감은 15세기 성종 때 서거정 등이 단군조선을 국사의 처음 으로 확립하여 자주적 입장에서 정리(arrangement)한 최 초의 통사이다.
④ 정선 – 인왕제색도
1. 한글창제
① 고려국사 – 조선 건국의 정당성 강조
해설 : ① 고려국사는 국초 태조 때 정도전이 고려 멸망의 당위성과 조선건국의 정당성을 밝히고자 편찬한 것이다.
■ 평가하기
3. 다음 화가 중 작품과 다르게 연결된 사람은?
해설 : ①은 법전, ②는 지리서, ③은 조선후기 자주적 역사(歷史)서, ④ 농사직설은 농서이나 나머지는 의서이다.
③ 신윤복 - 씨름
Download : 한국사(기말고사).hwp( 38 )
① 안견 - 몽유도원도
④ 고려사는 15세기 문종 때 국왕중심으로 역사(歷史)를 강조하여 기전체로 쓰여진 사서이다.
③ 기자실기 – 고려시대 역사(歷史)를 자주적 입장에서 정리(arrangement)
다.
- ‘군마도’, ‘수상루금도’, ‘호취도’ 등 생동하는 그림을 남김
해설 : 신윤복의 대표작으로는 미인도•단오도•빨래하는 여인•술파는 여인 이 있따
③ 기자실기는 16세기 이이가 저술한 것으로 사림들의 역사(歷史)와 culture의식이 반영되었다. 5) 공예
먼저 자기공예부터 살펴보도록 해요. 조선 후기에는 백자가 민간에까지 널리 사용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어요.
민화는 서민들의 기원과 소망, 민간신앙과 일상생활의 윤리규범을 담고 있으며, 우화적, 기교적 서민생활과 한국적 정서의 표현으로 민중의 미적 감각을 잘 나타내고 있어 소박한 우리 정서가 짙게 배어 있었어요. Japan인 학자 야나기 무네요시가 처음 ‘민화’라 명명하였는데, 서민화가가 그린 그림이기 때문에 작가와 연대가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죠. 한국의 자연, 해, 달, 나무, 꽃, 동물, 물고기 등을 소재로 삼아 소원을 기원하고 생활공간을 장식하였으며, 산수화, 인물화, 동물화, 화조화, 문자화, 책거리 등으로 구별되요. 또 민화는 조선 후기 서민층의 의식성장에 기여하였죠.
• 조선왕조실록은 춘추관(서울), 성주(경상도), 전주(전라도), 충주(충청도) 사고의 4대사고에 두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인 해 5대사고로 정비됨
청주대 한국사,CJU 한국사,사이버강의,이미숙 한국사
② 강희안 – 고사관수도
설명
• 화원출신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③ 동사강목, 해동역사(歷史), 발해고
② 팔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 조선왕조실록(태조~철종)은 사초와 시정기를 중심으로 승정원일기, 의정부등록, 비변사등록, 일성록, 개인문집, 상소 문 등을 보조 자료로 하여 편찬함
② 동국통감 – 사림의 역사(歷史)와 culture의식 반영
- 강렬한 필법과 채색법으로 뛰어난 기량을 발휘함
④ 농사직설,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④ 고려사 – 우리 역사(歷史)의 독자적 정통론을 체계화
17세기 이후는 청화백자가 발달하였는데, 백자에 다른 색은 쓰지 않고 푸른색을 내는 천연코발트 안료를 사용하여 산수•초목•화조 등의 그림을 붓으로 그린 다음 구워낸 것으로 한국인의 소박한 감정이 잘 표현되어 있죠. 이렇게 청화백자가 많이 생산될 수 있었던 것은 中國에서 수입되던 안료가 국내에서 생산되었기 때문이었어요. 그밖에 철화, 진사 등도 있었으며, 제기와 문방구 등 생활용품이 많았고 조선후기 서민들은 순백자와 옹기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양반들은 주로 청화백자가 유행하였습니다.